오브젝틱은 UHPC(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압축강도 150MPa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로 만들 수 있는 가구, 오브제, 바닥재, 벽 마감재, 세면대 등 콘크리트의 조형성을 제한 없이 실험하고 적용하는 스튜디오이다. 8M 이상의 거대한 일체형 카운터 테이블을 제작하고, 단정한 감성의 콘크리트 세면대를 만들고, 마블링 패턴의 판재, 패브릭의 텍스처를 콘크리트로 옮겨오는 다양한 표면재를 오브젝틱의 기술과 감성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번 콩크 케이스(CC)는 콘크리트 하면 흔하게 떠오르는 매트한 회색 질감 외에 얼마나 다양한 표면 작업이 가능한지 오브젝틱([**@objectic_official**](<https://www.instagram.com/objectic_official>))과 함께 이들을 총망라했다. 크게 골재(A면)와 텍스처(B면)로 나눠 실제 샘플과 레퍼런스로 각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A면에서 실험적으로 작업한 우드 골재 샘플과 B면의 마뗑킴 사례를 주목할 만하다. 우드 골재 샘플은 포레소같은 우드 테라조로 발전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마뗑킴의 사례는 패브릭 질감이 콘크리트에 그대로 옮겨져 둘을 분간하기 어려운 것이 재미있다. 

오브젝틱_커버.jpg


📼 Side A- 골재

{물}과 {시멘트} 반죽에 골재를 배합하여 만든다. 강섬유를 일정 비율 보강하여 강도가 높고 유연한 편이며,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번 Conc Case에서 소개되는 골재 타입은 베이직, 폐플라스틱, 폐유리, 폐도자기, 돌, 금속, 나무이다.

IMG_3990.jpg

Side A- 골재; 레퍼런스

  1. 베이직(CA;01) 일반적인 UHPC 디자인. 모래, 자갈 등의 골재로 만들어진다. 입자의 크기와 종류, 밀도에 따라 다양한 테라조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11_CU Flagship Store K-PLANET Olympic Square Branch (CU 플래그십 스토어 케이행성 올림픽광장점).JPG

07_CU Flagship Store K-PLANET Olympic Square Branch (CU 플래그십 스토어 케이행성 올림픽광장점).JPG

  1. 폐플라스틱(CA;02) 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브랜드에서 직접 수거한 공병, 공장에서 제품을 제작하다 남은 펠릿 등 다양한 플라스틱 분쇄물을 콘크리트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4.29.png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4.35.png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6.46.png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6.37.png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7.20.png

스크린샷 2024-08-30 오후 3.37.28.png

  1. 폐유리(CA;03) 유리를 골재로 활용한 테라조 디자인. 폐유리는 구할 수 있는 게 한정적이라 색이 다채롭지는 않지만, 다양한 색상의 유리 공병이나 색유리 폐기물이 있다면 해결할 수 있다.
  2. 폐도자기(CA;04) 불연성 폐기물인 폐도자기를 활용한 테라조 디자인. 폐기 후 땅속에 묻혀 썩지 않고 그대로 매립되는 폐도자기를 분쇄하고 테라조 칩으로 재활용했다.
  3. 돌-마블(CA;05) 파쇄한 석재를 배치해 만든 테라조 디자인. 석재를 그대로 노출해 석재 본연의 무늬와 질감이 나타난다. 스케일을 키워 자연석을 상감할 수도 있고, 과감한 패턴 디자인이 가능하다.
  4. 금속-알루미늄(CA;06) 기호 문양으로 재단된 금속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만든 알루미늄 테라조. 디자이너의 커스텀 디자인으로, 직접 제작한 소재를 활용했다는 점이 재미있다.

32_BEAKER Seongsu (비이커 성수).JPG

20_BEAKER Seongsu (비이커 성수).JPG

  1. 나무-바크(CA;07) 바크를 칩으로 활용한 테라조 디자인. 나무의 껍질을 벗겨낸 것으로, 만지면 나무껍질의 까슬함이 느껴진다. 바크 외에 정제한 목재를 적용해 수종별로 다른 무드를 연출할 수도 있다.

📼 Side B- 텍스처

UHPC의 유동성을 활용하여 부드럽고 깔끔한 표면부터 기공을 노출시킨 거친 질감의 표면까지, 다양한 텍스처를 연출할 수 있다. 이번 Conc Case에서 소개되는 텍스쳐는 플레인, 러프, 텍스타일, 마블링, 컬러로 5가지 타입이다.

IMG_4125.JPG

Side B- 텍스처; 레퍼런스